안녕하세요. 대신저축은행입니다.
청년 실업률이 더욱 높아져만 가는 현대 사회! 많은 취준생들의 걱정이 날로 늘어만 가는 것 같습니다. 공부는 공부대로 하고~ 자격증은 자격증대로 따는데도 왜 이렇게 취업의 문이 열리지 않는 건지..
면접에 가기도 전에 서류전형에서 계속 떨어져 걱정이 많은 청년들을 위해 NCS(국가직무능력표준)에 대해 꼼꼼하게 알아보겠습니다~!
■ NCS(국가직무능력표준)이란?
대기업 공채 시험을 보게 되면 NCS를 통해 서류전형과 면접전형이 이루어지곤 하는데요. 직무수행에 필요한 능력을 국가적 차원에서 표준화 한 것이 NCS(국가직무능력표준)이에요. NCS는 직업기초능력과 직무수행능력으로 분류되어 있답니다.
1. 직업기초능력
직업기초능력은 사람에 대한 기본적인 인성을 평가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는데요.
의사소통, 자원관리, 문제해결, 정보, 조직이해, 자기개발, 대인관계, 기술, 직업윤리 능력까지 총 10개의 영역과 각각의 하위영역으로 나뉘어져 총 34개의 영역이 있습니다.
직업기초능력은 주로 자기소개서를 통해 평가가 진행되기 때문에 기업에서 원하는 능력을 파악하여 핵심 키워드를 잘 녹여내는 것이 중요해요.
2. 직무수행능력
직무수행능력은 기업의 실무 현장에서 직무수행에 필요한 지식과 기술, 태도 등을 말합니다.
하나의 직무를 수행하면서 여기에 필요한 능력들을 능력단위라고 표현하는데, NCS에서는 한 직무 당 보통 10개의 능력 단위가 있고 능력의 수준에 따라 8가지로 구성되어 있어요. 각각의 학력이나 경력 등 스펙에 따라 그에 상응하는 수준의 능력준비가 필요하답니다.
그렇다면, NCS를 기반해 인력을 채용하는 과정에서 취준생들이 어떤 것을 해야 하는지 알아보도록 할까요?
■ NCS기반 서류전형 준비하기
NCS기반 자기소개서를 작성하기 위해서는 먼저 지원자의 지원동기, 조직적합성, 직업기초능력 위주로 작성하게 되는데요.
조직과 직무에 대해서 제대로 파악하고 있는 것인지, 기업의 핵심가치나 인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인재상인지를 위주로 보일 수 있게 하면 된답니다. 자기소개서를 작성할 때 기업분석은 기본이죠!
포트폴리오나 경력기술서를 작성하기도 하는데요. 활동한 내용들은 SNS에 올리는 것도 도움이 된다고 해요. 자격사항이나 경험과 경력 사항 등을 해당 직무에서 요구하는 능력과 매치해서 강조하는 것이 방법이죠.
■ NCS기반 필기∙면접전형 준비하기
1. NCS기반 필기전형
필기전형은 채용 공고에 나온 직무에 적합한 인재인지 찾는 것을 목표로 시험이 준비됩니다.
평가는 선다형, 진위형, 단답형, 연결형, 논술형 등 다양한 형태로 나올 수 있으니 모든 항목에 준비를 철저히 하시는 것이 좋아요.
직업에 대한 기초 능력 평가와 전공 필기, 직무 수행 능력 평가 등 다양한 유형 중 선택적으로 진행되는데, 따로 필기 전형을 점수에 반영하지 않겠다는 기업이 있지만 참고는 분명히 하는 것이니 필기전형 준비도 잘 해주셔야 해요.
2. NCS기반 면접전형
경험이나 상황 면접, PT, 토론 면접 등 정말 다양한 형태로 면접을 진행하게 될 텐데요. 지원자가 기업에 필요한 직무 능력을 갖추었는지 집중 평가하게 되어 있습니다.
공기업을 준비하는 분들이라면 국가직무능력표준 홈페이지를 통해서 3단계로 준비해보세요. 명확한 진로설정과 사전준비를 끝내고 직무별로 요구하는 능력을 확인한 뒤, NCS기반 평가를 준비하실 수 있답니다.
취업준비를 제대로 하기 위한 NCS(국가직무능력표준)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나를 기업에 어떻게 맞출 수 있을지, 어떻게 더 효과적으로 나를 전달 할 수 있는지 알아보고 되새겨 보는 시간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NCS로 더 구체적인 취업준비 해보시길 바랄게요~!
'일반정보 > 생활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불타버린 지폐, 손상된 화폐 교환방법! (0) | 2017.04.06 |
---|---|
안전운전하고 벌점 감경받는 착한운전마일리지 제도! (0) | 2017.04.05 |
젊은 세대들의 새로운 소비 트렌드, 페이크슈머 (0) | 2017.03.30 |
IT 기술과 함께 발전하는 똑똑한 업무, 스마트워크! (0) | 2017.03.29 |
고속버스 자유이용권 EBL 패스로 즐기는 전국여행! (0) | 2017.03.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