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반정보/생활 이야기

공인인증서를 대체할 新기술, 블록체인의 원리



안녕하세요. 대신저축은행입니다.


최근 국내 IT업계 사이에서 블록체인 열풍이 불고 있는데요. 통신사, 인터넷 포털사이트에서 블록체인이 차세대 기술로 떠오르면서 각종 대기업에서는 주도권을 선점하고자 기술을 개발하고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습니다. 이 때문에 기존에 가지고 있던 시스템을 블록체인이 대체하는 현상도 나타나고 있는데요.


공인인증서를 대체할 新기술, 블록체인의 원리가 무엇인지 함께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 20년 사용되어 왔던 공인인증서의 ‘폐지’



공인인증서는 전자상거래 시 신원확인, 문서 위조 및 변조, 거래사실 부인 방지 등을 목적으로 공인인증기관에서 발행해주는 일종의 사이버 거래용 인감증명서로서 1999년 인터넷 전자서명법과 함께 도입되었습니다. 


하지만 1년마다 갱신을 해야 하고 다양한 보안프로그램을 설치해야 하는데 그 중에서도 액티브 X는 인터넷 익스플로러에서만 실행이 가능하여 다른 웹브라우저와의 호환성이 매우 낮았는데요. 보안도 취약하여 개인정보 유출에서도 문제가 발생하는 치명적인 단점들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지난 1월 22일, 신기술 도입 활성화와 인증제도를 바꾸고자 공인인증서 폐지를 공식적으로 발표하게 되었습니다.



■ 블록체인의 원리



블록체인(Block Chain)은 공공거래 장부로 불리는 보안기술로 여러 사람이 같은 정보를 나누어 보관하는 것을 말하는데요. 블록체인의 원리를 이용하면 블록 하나의 정보가 바뀌면 다른 블록도 영향을 받기 때문에 모든 컴퓨터를 해킹하지 않는 이상 정보를 빼낼 수 없어 해킹이나 데이터 변조와 같은 위험에 안전한데요. 또한 커뮤니티와 같은 공간에 파일이나 정보를 공유해도 모든 사용자의 데이터가 각각 분산되어 저장되기 때문에 디도스(DDos)와 같은 공격에도 정보유출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블록체인은 서버에 대한 걱정도 필요하지 않는 것도 특징인데요. 블록들이 중앙 서버에 저장되는 방식이 아니기 때문에 참여자가 아무리 많아져도 분산 저장되어 서버를 따로 증설할 필요가 없습니다.



■ 블록체인 앞으로의 전망



금융 쪽에서 블록체인을 이용하게 된다면 컴퓨터마다 분산된 장부를 통해 개인정보, 데이터 변조와 같은 유출의 위험을 낮출 수 있는데요. 오는 7월에는 공동 인증 시스템을 도입하여 기존 공인인증서처럼 재발급, 가져오기를 하지 않고 18개 은행을 한번의 가입으로 간편하게 이용이 가능하도록 할 예정입니다.


또한 저작권, 유통, 헬스케어 분야 등 다양한 분야로 확대될 가능성도 보이고 있는데요. 현재 국내에서는 다양한 기업에서 새로운 블록체인 기술과 금융상품들을 앞다투어 출시하고 있고 정부에서도 축산물 관리, 선거개표와 같은 곳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시범사업을 추진하고 있는 상태입니다. 이처럼 데이터 안전성과 편리함, 효율성을 동시에 갖추고 있는 블록체인 기술은 다양한 방면에 활용한다면 긍정적인 효과를 줄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공인인증서를 대체할 블록체인의 원리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기존에 어렵고 복잡했던 방법들을 블록체인의 원리를 이용한 기술을 바탕으로 편리해지는 만큼 우리의 삶이 어떻게 변화할지 관심을 가져 보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