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대신저축은행입니다.
날씨가 따뜻해지면서 자전거를 타고 다니는 분들을 자주 볼 수 있는데요. 운동이나 취미생활로 즐기기에도 부담이 없어 많은 분들이 자전거를 구매하곤 합니다.
하지만, 자전거를 처음 구매하시는 분들은 막상 마음먹어도 종류가 너무 다양해 어떤 자전거를 사야 할지 고민하시는 분들이 많은 것 같아요.
자전거를 타는 목적에 따라 맞는 자전거 종류도 달라지기 때문에 꼼꼼히 알아보신 후에 구매하는 것이 중요하답니다~!
■ 스피드를 즐기고 싶다면 ‘로드바이크’
로드바이크는 장거리 주행 또는 도로 주행용으로 적합한 자전거인데요. 날렵한 디자인에 타이어도 좁은 편이고, 핸들 손잡이가 안장보다 낮게 위치해있습니다.
좁은 타이어가 땅과의 마찰을 줄여 빠른 속도를 낼 수 있다는 것이 가장 큰 특징이지만 속도가 빨라 미끄러짐 등에 대처하는 순발력이 필요하기 때문에 자전거를 처음 타시는 분들 보다는 경력이 있는 분들이 타기에 좋답니다.
■ 시골길이나 비포장 도로는 ‘MTB’
산악용 자전거인 MTB는 타이어 폭이 넓어 흙길이나 빗길에서도 비교적 안전하게 주행이 가능한데요. 바퀴의 크기가 로드바이크보다 작은 편이고 두께는 훨씬 두꺼운 편입니다.
조작방식이 어렵지 않고 승차감이 안정적이어서 자전거 입문 시 많이 사용되기도 하고, 내구성이 튼튼하고 충격에도 강해 비포장 도로나 장거리 여행 시 적합하다고 해요.
■ 출퇴근용은 ‘하이브리드’
하이브리드는 기어변속으로 오르막길, 내리막길에서 속도조절이 가능해 출퇴근이나 등하교용으로 많이 사용되는데요. 속도감을 느낄 수 있는 제품 중 하나로 로드바이크 보다는 두껍고, MTB 보다는 얇은 타이어를 사용해 울퉁불퉁한 바닥에서도 주행할 수 있습니다.
로드바이크의 속도감과 MTB의 안정감을 두루 갖추고 있어 초보자들에게도 적합하답니다.
■ 복잡한 시내 안에서는 ‘미니벨로’
아담하고 작은 사이즈가 특징인 미니벨로는 복잡한 시내에서도 비교적 수월하게 다닐 수 있는데요. 출발이나 정지 시 많은 힘이 필요하지 않고, 적은 힘으로도 속도를 낼 수 있다고 해요.
색상과 디자인이 다양하고, 접이식 디자인은 휴대성이 좋아 여성분들에게 특히 인기가 좋답니다.
■ 평평한 도로에서 장거리 주행은 ‘픽시‘
픽시는 다른 자전거 종류와 다르게 변속기 등 부속장치가 없고, 고정기어를 사용한다는 것이 특징인데요. 간단히 말해 페달을 앞으로 밟으면 앞으로 가고, 뒤로 밟으면 뒤로 가는 자전거입니다.
평지에서 가볍게 탈 수 있다는 장점이 있고, 부품이 단순해 조립이 간편하고 튜닝이 자유로워 개성 있는 자전거를 쉽게 꾸밀 수 있습니다.
하지만 브레이크 없이 타는 경우에는 위험할 수 있으니 주의하셔야 한답니다.
■ 자전거 구매 팁!
목적에 맞는 자전거 종류를 고르셨다면 본격적으로 자전거를 고르기 전 알아둬야 할 몇 가지를 알려드릴게요~!!
첫째, 예산은 자전거 가격보다 높게 책정하시는 것이 좋아요. 자전거 외에도 헬멧이나 물통, 펌프, 케이지 같은 용품을 사는데 추가적인 비용이 들 수 있습니다.
둘째, 체형에 맞는 자전거를 골라야 합니다. 대부분의 자전거 매장은 여러분의 몸에 맞는 자전거 사이즈를 찾아주고 안장 높이와 포지션, 핸들바 높이와 리치 등을 맞춰주는 경우가 많습니다.
셋째, 직접 시승해보는 것이 좋습니다. 마음에 드는 자전거를 골랐다면 15분~20분 정도 테스트 라이딩을 해보면서 승차감을 직접 느껴보는 것이 좋겠죠.
넷째, A/S가 가능한지 확인해야 합니다. 자전거를 구매했다고 해서 끝이 아니라 정기적으로 방문해 관리를 받아야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습니다.
자전거 종류와 특징, 그리고 자전거 구매 팁까지 알아보았는데요. 여러분에게 맞는 자전거를 잘 살펴보시고 합리적으로 구매하셔서 안전하게 타시길 바랄게요!
'일반정보 > 생활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남산타워 조명의 비밀! (0) | 2017.05.24 |
---|---|
중요한 파일 저장, 파일공유는 무료 클라우드 서비스 (0) | 2017.05.23 |
5월 종합소득세 신고방법 및 신고대상 알아보기! (0) | 2017.05.19 |
내 소중한 스마트폰이 사라졌다? 스마트폰 분실 시 대처방법! (0) | 2017.05.18 |
점점 쌓여가는 직장인 만성피로 극복하기! (0) | 2017.05.17 |